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군인월급 총정리 (+부사관 포함 실수령액·적금 혜택까지)

by 잼잼베이비 2025. 6. 13.
반응형

 

“이제 군대도 최저임금 받는다고?”
2025년부터 병사들의 군인월급이 크게 올랐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솔직히 의심했어요.
군대를 다녀온 입장에서는 '밥값보다 못한 수당'이 익숙했으니까요.
그런데 정말로, 이제는 병장 기준 100만 원 이상을 받는 시대가 되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실제 병사, 부사관 기준 2025 군인 월급표, 실수령액, 인상 내용까지 한눈에 정리해봤습니다.
군 복무 중 쌓이는 장병내일준비적금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 2025 군인월급 얼마나 올랐을까?

올해 정부는 “병사 군인월급을 최저임금 50%까지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에 따라 2025년 병장 기준 월급은 1,122,100원으로 확정되었죠.

계급 2025 월급 (세전)
이병 678,200원
일병 733,300원
상병 802,600원
병장 1,122,100원
 

기준은 세전 금액이며,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은 약 95만 원 내외입니다.
물가가 많이 오른 요즘, 여전히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과거에 비하면 엄청난 변화죠.

참고로 2017년 병장 월급은 21만 원이었으니, 8년 사이에 5배 넘게 인상된 셈입니다.


📈 병사 군인 인상률은 얼마나?

2024년 대비 2025년 군인월급 인상률은 대략 14~18% 수준입니다.
특히 병장은 월 20만 원가량 오른 것으로, 현역 병사들의 생활 안정성을 위해
정부가 예산을 적극 투입한 결과입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2027년까지 최저임금 100% 수준으로 군인 인상 정책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장병내일준비적금으로 최대 6백만 원 모으기

군 복무 중 월급만 모으는 건 이제 옛말이에요.
2025년에도 장병내일준비적금이 유지되며, 병사 월급 중 일부를 적금으로 모으면
정부가 매칭지원금 최대 320만 원을 추가로 얹어주는 제도입니다.

  • 월 최대 납입: 40만 원
  • 복무기간 중 수령 총액: 약 640만 원 이상 가능 (본인 적립 + 정부 매칭)

실제로 많은 병사들이 전역할 때 이 적금으로 첫차 구매 또는 자취 준비금을 만들고 있어요.
군 복무가 단순히 ‘시간 버리는 것’이 아닌, 미래 준비 기간이 된 셈이죠.


🪖 부사관 월급도 함께 인상! 실수령액은?

2025년에는 **직업군인(부사관 포함)**의 월급도 함께 인상되었습니다.
특히 하사 기준 월 기본급은 약 2,055,000원, 여기에 위험수당, 직책수당, 숙식비 등 추가 수당이 더해지며
실수령액은 약 230~260만 원 수준으로 형성됩니다.

계급 기본급(2025년 기준) 실수령 추정
하사 약 205만 원 약 230만 원
중사 약 240만 원 약 270만 원
상사 약 270만 원 이상 약 300만 원+
 

부사관은 복무기간에 따라 연금 자격도 생기기 때문에, 장기 복무자에게는 상당히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꼽힙니다.


📌 군인월급, 세금과 수당은 어떻게?

병사 월급은 기본적으로 소득세·주민세가 소액 공제되며,
식사와 숙박은 모두 국가에서 지원되므로 실질적인 생활비 지출이 거의 없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수당이 추가로 붙기도 합니다:

  • 특수직무수당 (운전병, 의무병 등)
  • 위험수당 (특전사, UDT 등)
  • 동계/하계 훈련지원비
  • 휴가비 보조금

🎯 요약: 2025년 군인 실수령액 핵심만 정리하면?

  • 병장 실수령액: 약 95만 원
  • 장병내일적금 포함 시 전역 시 약 600만 원 수령 가능
  • 부사관(하사) 실수령액: 약 230만 원 이상
  • 군인월급 인상률: 연간 14~18% 수준

“군대가면 월급 준대”라는 말이
이제는 “군대가면 돈 모은대”로 바뀐 것 같습니다.
2025년 군인 인상 정책은 단순한 수당 인상을 넘어,
청년들의 군 복무에 대한 인식 자체를 바꾸고 있는 변화로 보입니다.

혹시 지금 군 복무 중이거나 입대를 앞둔 분이라면,
적금 활용과 수당 정보를 미리 확인해서 더 똑똑하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